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던의 경제 대공황 매뉴얼

by Joseph_ 2022. 12. 4.
반응형

최근 여러가지 이슈로 올초에 비해 나스닥 수치가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과거 경제 대공황과 비슷한 것일까요? 맞다면 대공황 시 어떻게 투자를 해야할까요? 내일의 부 책을 통해서, 저자인 조던의 경제 대공황 매뉴얼을 한 번 알아보았습니다.

공황의 조짐

먼저, 대공황이 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느낌적인 느낌으로 알수도 있겠지만, 객관적인 수치로 제시한 기준이 있습니다. 기준은 아래 표와 같은데요. 나스닥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한 달동안 나스닥 수치 -3%가 네 번이상 발생했다면 공황 확정입니다. 네 번째 -3%가 뜬 날이 대공황 확정일입니다. 반대로 종료되는 시점도 나스닥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두 달 동안 -3%미만으로 한 번도 뜨지 않아야합니다. 

대공황의 시작과 종료를 알 수 있는 방법을 표로 나타낸 그림
대공황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표

왜 나스닥 -3%인지에 대해서는 '내일의 부'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결론은 이전의 경제 위기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2008년 금융위기, 2000년 닷컴버블, 1987년 블랙먼데이 때도 위기가 시작되기 전 한 달 동안 나스닥 수치가 -3%이상 감소하는 날이 4일 이상 있었습니다. 위기가 끝난 시점도 마찬가지로 두 달 동안 -3% 이상 감소분이 보이지 않았을 때 대공황이 끝났다라고 볼 수 있었습니다.

대공황 투자 매뉴얼

달러 환전하기

내일의 부 책에서는 대공황 투자 매뉴얼을 설명하기 전에 주식 투자 매뉴얼을 먼저 설명합니다. 아주 심플한데, 나스닥 -3%가 뜨면 가진 모든 주식을 매도합니다. 그리고 한 달 동안 -3%이상 감소가 발생하지 않으면 다시 주식을 매수합니다. 아주 심플하죠? 그래서 사실 조던의 경제 대공황 매뉴얼은 주식 매도보다는 환전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공황 시 투자 매뉴얼을 나타낸 표
대공황 시 투자 매뉴얼

경제 위기가 오면, 기축 통화인 달러 가치가 상승하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이전 경제  위기 시 데이터를 보면 달러 값이 크게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대공황이 끝났을 때에는 달러 값이 다시 떨어집니다. 그래서 위의 표와 같은 매뉴얼이 탄생했습니다. 달러가 가장 비싼 시점에 팔면 좋겠지만, 지나고 나서야 알지 그 시점에서는 알기가 불가능합니다. 달러 값은 보통 몇 번의 피크를 보이는데, 첫 번째 피크를 보면서 두 번째 피크로 갈 때에 첫 번째 피크 때와 비슷한 값에 환전하는 것이 매뉴얼의 전략입니다. 첫 번째 피크 만큼 상승하지 못하더라도 근처에 갔을 때 환전하면됩니다. 그리고 대공황이 끝났다는 것이 나스닥 수치로 확인이 되면 다시 주식을 매수합니다.

미국채에 투자하기

나스닥 -3%가 떳다는 것은 경제 위기 신호입니다. 위기의 순간에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미국채(미국 국채)입니다. 내일의 부에 따르면 나스닥과 미국채의 차트는 반대로 가는 경향이 있다고합니다. 2020년 초반에 코로나19로 경제위기 왔었는데요. 아래 그래프에 표시된 부분입니다. 주황색 선이 TLT로 미국채를 나타냅니다. 나스닥이 하락할 때 TLT는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책의 말대로입니다. 따라서 대공황의 조짐이 보인다면, 미국채에 투자합시다. 그러다 공황이 종료되면, 다시 주식을 사들이면 됩니다. 경제 위기에서도 투자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 이후 나스닥 감소율
2018.01.01 ~ 2022.12.06 나스닥과 미국채 경향 그래프(좌) / 코로나19 초기 나스닥 감소율(우)

한편, 올해 4월부터 5월초에 대공황 신호가 있었는데요. 4월 26일 나스닥 -3.95%를 시작으로 4월 29일 -4.17%, 5월 5일 -4.99%, 5월 9일 -4.29%, 5월 11일 -3.18%, 5월 18일 -4.73%가 떳습니다. 한 달 안에 4번 이상의 -3%이상이 떳기 때문에 매뉴얼에 따라 대공황 확정입니다. 하지만 미국채의 움직임은 나스닥과 거의 유사했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미국채가 단순히 나스닥과 반대 경향으로 움직인다고 확신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아직 공부가 부족해서 정확한 이유는 잘 모르지만, 다른 요소가 있을 것이라는걸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2022년 4월 이후 나스닥&미국채 트렌드를 나타낸 그래프
2022년 4월 이후 나스닥&미국채 트렌드

조던의 경제 대공황 매뉴얼을 알아봤습니다. 준비된 자에게는 위기조차 기회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다시 경제 위기가 온다면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로 잘 활용할 수 있기를 스스로에게 바래 봅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