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Joseph입니다.
NFT에 대해 알아보다가 P2E 게임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벌써 굵직한 게임회사들이 앞 다투어 P2E 게임을 출시하고, 또 출시하려고 준비하고 있더군요. 넷마블, 컴투스 그룹, 네오위즈 등은 2022년 4월 중 신작 P2E게임 출시 예정이라고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P2E 게임이 무엇인지 알아보았고, 넷마블의 P2E 게임인 A3 스틸얼라이브 P2E 간단 후기, P2E로 얼마나 벌 수 있는지 그리고 끝에서는 P2E에 대한 게임위의 생각에 대해 적어보았습니다.
P2E란? : P2W(Pay to Win)에서 P2E(Play to Earn)
게임회사는 유용한 아이템을 돈을 주고 사도록 유도하고, 유저들은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남들보다 앞서기 위해) 실제로 돈을 주고 아이템을 구매해왔습니다. 그래서 P2W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Play to Win의 약자로 이기기 위해 돈을 써야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요즘 P2E 라는 게임이 등장했습니다. P2E는 Play to Earn의 줄임말로 문자 그대로 '돈을 벌기 위해 게임을 한다'는 것이죠. 보통은 P2E라고하고 '플레이투언'라고도 하더군요. 이기기 위해 하는 것이아니라, 돈을 벌기 위해서 게임을 한다는 것이죠.
옛날에도 P2E를 할 수 있었는데? 뭐가 달라진 것일까
사실 P2W 게임에서도 돈을 벌 수 있었습니다. 게임에서 사용하는 돈을 실제 돈과 교환하는 것도 흔했고, 게임 아이템이나 계정을 현금으로 판매하고 구매하는 행위가 흔하게 일어지고 있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P2W의 아이템은 디지털 공간에서만 존재합니다. 계정이나 아이템의 가치는 해당 게임을 하는 사람들에 의해 정해지죠.
본격적인 P2E 게임이 가능하게 된 것은 NFT의 등장 덕분입니다. P2E 게임에서는 NFT를 활용합니다. NFT는 디지털 세상에 존재하는 것들(사진, 영상, 캐릭터, 아이템 등)에 가치를 부여합니다. P2E 게임에서는 게임내에서 획득하는 아이템, 영토, 아바타 등에 NFT를 활용해 실제 가치를 부여합니다. 가상 자산이 생겨나는 것입니다. 가치가 생긴다면 사람들과 거래를 하며,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생겨나겠죠? 그리고 NFT를 활용하면 암호 화폐 플랫폼을 기반으로 아이템 거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합니다. 소위 말하는 '먹튀'같은 아이템 사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됩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게임의 아이템을 쌓아가는 것이 실제 자산을 쌓아가는 것 같이 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게임회사는 어떻게 돈을 벌까?
한편, 아이템을 팔아 돈을 벌었던 게임사는 매출을 어떻게 창출할까요? 아마 게임 내에서 NFT 거래가 발생할 때 수수료를 챙기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정 규모 이상의 게임회사들은 자체적으로 암호화폐를 발행할텐데, 이 암호화폐의 가치가 올라가서 시장에서 인정받게 되면, 이 화폐의 시가총액이 상승하게 되겠죠? 그러면 회사도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수수료가 주된 수입원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때문에, 유저 유입이 가장 중요한 지점이 될 것입니다. 수수료가 수입 모델이라면, NFT 거래가 활발히 일어나야 게임회사들도 돈을 벌 테니까요
넷마블의 P2E 'A3 스틸얼라이브'
어떤 게임인가 궁금해서 설치해서 한 번 플레이해 보았습니다. 제가 게임을 별로 안 좋아해서(소질도 별로 없습니다..ㅠ) 진짜 잠깐 맛만 보았습니다. 게임 데이터 용량이 5기가 정도 되더군요. 집에서 와이파이 잡고 설치하니까 8분 정도 걸렸습니다. 특이한 점은 게임이 설치될 동안 미니게임을 할 수 있게해줍니다. 넷마블의 배려일까요? ㅎㅎ
게임자체는 기존에 출시되었던 RPG(Role Playing Game)와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P2E의 성공 여부는 기존과 동일한 방식의 게임에 NFT와 암호화폐를 어떻게 결합시키느냐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게임과 연동되어 전자지갑, 게임토큰 등의 플랫폼이 잘 갖춰지도록 해야할 것 같다. 넷마블은 MBX라는 코인을 만들었는데, A3 스틸얼라이브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게임에서 MBX를 활용하도록 할 것이라고 한다.
P2E 게임으로 얼마나 돈을 벌 수 있을까? 게임만해도 먹고 살 수 있을까?
사실 P2E 게임을 접했을 때 이 질문이 먼저 떠올랐습니다. '게임만해도 먹고 살 수 있을까?' 아마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 글을 쓰면서 많이 참고한 'NFT의 시대'라는 책에 따르면 전업으로 게임에 참여할 경우 한 달에 평균 100만 - 200만원 정도 벌수 있다고 합니다. 책에서 예로 든 게임은 '엑시 인피니티'인데, 베트남 스타트업인 '스카이마비스'라는 회사에서 2018년에 출시한 게임입니다. 이 게임은 2021년 4월에 자체 사이드 체인인 '로닌'을 도입하여 유저에게 수익을 보장해 주었는데, 이때부터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필리핀의 평균 월임금은 104만원 정도인데, 게임으로 100만 - 200만원을 벌 수 있다니 사람들이 열심히 할만한 것 같네요. 동남아를 중심으로 '엑시 인피니티'열풍이 불고있다는데, 충분히 납들할만 합니다. 저라도 했을 것 같네요.
한국의 P2E 게임 규재
한 기사에 따르면, '게임물관리위원회(게임위)는 사행성 문제를 이유로 P2E 게임에 등급분류를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2022.04.12 국회 제2세미나실에서 'P2E, 한국 게임산업의 대세인가 신기루인가'를 주제로 포럼이 열렸는데요. '신기루'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으로 보아 일각에서는 P2E 게임을 좋지 않게 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양정숙 의원의 말에 동감하는데요. 양의원은 해당 포럼에서 우리나라 게임산업은 신성장동력이라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경쟁력이 있지만 대한민국의 법률과 제도에 의해 발목이 잡혀있다고 얘기했습니다. 잘은 모르지만... 국내 기업들이 게임산업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정부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P2E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진짜 나중에는 달빛조각사 마냥 게임 열심히하면 돈도 많이 벌고 명예도 얻을 수 있는 그런 시대가 올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좋아요와 댓글은 사랑입니다 -
2022.04.23 추가
본문의 내용처럼 한국에서는 규재로 인해 P2E게임을 할 수 없는데요. 아래의 글에서 한국에서 A3 스틸얼라이브 글로벌 P2E를 할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04.23 - [NFT] - 넷마블 코인 채굴! A3 스틸얼라이브 P2E로 하는법
'N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NFT 미술과 아트테크 (0) | 2022.04.27 |
---|---|
MBX 코인(Marblex)에 대해 알아보자(시세 전망 등) (0) | 2022.04.24 |
넷마블 코인 채굴! A3 스틸얼라이브 P2E로 하는법 (0) | 2022.04.23 |
오픈시(OpenSea) NFT 그림 만들기 (0) | 2022.04.16 |
디센트럴랜드 가입하기(play using your wallet에 메타마스크가 없다??) (0) | 2022.04.10 |
댓글